
네이버지도(네이버맵)의 기능 중에서 토지용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여기서 토지용도란 지자체에서 토지 이용을 입지별로 제한하기 위해 구분해 놓은 것을 말합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용도지역에 따라 건물을 지을 때 용적률과 건폐율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곳에는 저층 건물만 세울 수 있는 등의 제한을 해놓기 때문에 토지 용도에 따라 주변 상권이 달라지게 됩니다.
네이버지도(네이버맵)에서는 해당 지역의 토지용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적편집도’라는 것이 그것인데요.
오늘은 토지용도 구별과 그에 따른 용적률과 건폐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상권분석 시 목적하는 지역 주변의 토지용도를 확인하면 상권이 어느 정도 활성화 되었는지 알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우선 토지용도를 확인할 지역을 검색합니다.
그리고 우측 메뉴 가운데 ‘지적편집도’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지적편집도 단추를 누르니 지도의 형태가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한 2차원적인 지도에서 블록별로 토지의 색상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도 이미지 하단에 메뉴 박스가 보이시나요?
이 중에서 ‘용도’라는 메뉴를 클릭해보세요.
토지용도별로 색상을 구분해 놓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거주 및 녹지지역은 녹색, 상업지역은 분홍색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토지용도별 용적률과 건폐율이 다릅니다.
다시 말해 어떤 땅에는 몇 층 이상의 건물을 세울 수 없고, 또 어떤 땅에는 이런 제약을 받지 않고 건물을 세울 수 있는 등….
건물을 세울 수 없는 곳이거나 저층건물만 올릴 수 있는 곳이라면 상권형성에 많은 제약을 받겠지요?
용도별 토지 사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크게는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호지역으로 나눌 수 있으나 네이버지도에서는 도시지역을 10개 지역을 좀더 세분화하였습니다.
용도지역
지정목적
도시지역
주거지역
제1종전용
단독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
제2종전용
공동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
제1종일반
저층주택 중심의 편리한 주거환경 조성
제2종일반
중층주택 중심의 편리한 주거환경 조성
제3종일반
중고층주택 중심의 편리한 주거환경 조성
준주거
주거 기능 위주, 지원 상업기능 및 업무보완
상업지역
중심
도심 및 부도심 업무와 상업기능 확충
일반
일반적 상업 및 업무 기능 담당
유통
근린지역에서 일용품 및 서비스 공급
근린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을 증진
공업지역
전용
중화학공업, 공해성 공업 수용지역
일반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을 배치
준공업
경공업 수용하되 주거, 상업, 업무기능 보완
녹지지역
보전
도시 자연환경, 역사문화적 가치, 생태계 보전
생산
농업생산을 위해 개발 유보, 농업진흥지역
자연
녹지지역 중 제한적 개발지역, 녹지보전
관리지역
보전관리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하기 곤란한 지역
생산관리
농림지역으로 지정하기 곤란하 지역
계획관리
도시지역에 준해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지역
농림지역
농업진흥지역, 농림업 진흥과 산림보전
자연환경보전지역
자연환경, 수자원, 생태계, 상수원, 문화재보호
다음은 건폐율과 용적률입니다.
구분
용도지역
건폐율 기준
도시지역
주거지역
제1종 전용거주지역 : 50% 이하
제2종 전용거주지역 : 50% 이하
제1종 일반거주지역 : 60% 이하
제2종 일반거주지역 : 60% 이하
제3종 일반거주지역 : 50% 이하
준거주지역 : 70% 이하
상업지역
중심상업지역 : 90% 이하
일반상업지역 : 80% 이하
근린상업지역 : 70% 이하
유통상업지역 : 80% 이하
공업지역
전용공업지역 : 70% 이하
일반공업지역 : 70% 이하
준공업지역 : 70% 이하
녹지지역
보전녹지지역 : 20% 이하
생산녹지지역 : 20%이하
자연녹지지역 : 20% 이하
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 : 20% 이하
생산관리지역 : 20% 이하
계획관리지역 : 40% 이하
농림지역
20% 이하
자연환경보존지역
20% 이하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네이버지도 ‘지적편집도’의 자료은 목적하는 지역의 용도를 알수 있어 편리하지만 실시간 최신정보가 아닌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각 지자체로부터 확정된 자료를 받아 계속 업데이트 하므로, 시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